#참고도서: '스프링 프레임워크 첫걸음' (키노시타 마사아키, 위키북스)

04장: 데이터베이스 작업

  1. 데이터베이스/테이블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 데이터를 표 형식으로 표현하고, 여러 표에서 항목의 값 사이에 관계를 맺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1. 레코드와 칼럼
  • 테이블의 가로 행(row)을 레코드(record)
  • 하나의 레코드가 한 건의 데이터
  • 테이블의 세로 열(column)을 칼럼(column)
  1. 데이터 입력
  1.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화 질의어)
  •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언어
  • CRUD: 영속적으로 데이터를 취급하는 4개의 기본적인 기능(생성, 읽기, 갱신, 삭제)
  • SQL의 CRUD

CRUD 명령어 개요

생성(Create) INSERT 데이터를 등록
읽기(Read) SELECT 데이터를 참조
갱신(Update) UPDATE 데이터를 갱신
삭제(Delete) DELETE 데이터를 삭제
  1. 엔티티와 리포지토리 알아보기
  1. 엔티티
  • 데이터를 담아두는 객체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한 행(레코드)에 대응하는 객체
  1. 리포지토리
  •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클래스
  • 리포지토리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구현해야 함
  1. 스프링 데이터 JDBC 사용해보기
  1. JDBC
  • O/R 매퍼
  • 스트링 데이터가 제공하는 CrudRepository를 상속해서 자동으로 CRUD를 지원하는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음

<롬복에서 제공하는 어노테이션>

@Data: 클래스에 부여하는 것으로, 전 필드에 대해 getter/setter로 액세스할 수 있음. hashCode(), equals(), toString()도 자동 생성

@NoArgsConstructor: 클래스에 부여하는 것으로, 기본 생성자가 자동 생성됨

@AllArgsConstructor: 클래스에 부여하는 것으로, 전 필드에 대해 초기화 값을 인수로 가지는 생성자가 자동 생성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