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도서: '스프링 프레임워크 첫걸음' (키노시타 마사아키, 위키북스)

 

05장: MVC 모델 알아보기

1. MVC 모델

- 프로그램의 처리 역할을 나누어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방법

- 모델(Model): 비즈니스 로직 담당, 시스템의 코어 부분, 시스템의 목적을 처리하는 부분

- 뷰(View): 사용자 입력과 결과 출력 등 시스템에서 표현 부분을 담당

- 컨트롤러(Controller): 서비스 처리를 담당하는 모델과 화면 표시를 담당하는 뷰를 제어하는 역할,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뷰에서 받고, 받은 데이터를 기준으로 모델에 내용을 전달

- 장점: 역할 분담을 통해 효율적인 개발 가능, 개발하는 엔지니어의 분업화가 용이, 설계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

 

2. 스프링 MVC

- 웹 애플리케이션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1) 주요 구성 요소

- DispatcherServlet: 모든 요청을 수신하는 프런트 컨트롤러

- Model: 컨트롤러에서 뷰에 넘겨주는 표시용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객체

- 컨트롤러: 요청에 대응해서 처리할 내용이 있는 곳

- 서비스 처리: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서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데이터를 가공하는 등 여러 가지 작업을 실행. 개발자가 설계하고 구현(스프링 MVC와 관계없음)

- 뷰: 화면 표시 처리

 

@Controller: 클라이언트와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컨트롤러를 부여

@RequestMapping: 컨트롤러의 요청 핸들러 메서드와 URL을 매핑

@GetMapping: @RequestMapping의 GET 요청용 어노테이션

@PostMapping: @RequestMapping의 POST 요청용 어노테이션

 

3. 뷰 생성 규칙

- resources/templates 폴더 밑에 뷰를 생성

- 뷰가 많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능별로 폴더를 만들어서 보관

- 폴더를 나눈 경우는 templates 폴더 이하의 폴더명을 요청 핸들러 메서드의 반환값에 지정

- CSS나 자바스크립트 등은 resources/static 폴더에 배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