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도서: '스프링 프레임워크 첫걸음' (키노시타 마사아키, 위키북스)

 

09장: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1. OX 퀴즈

1) 기능 목록

- 등록 기능, 갱신 기능, 삭제 기능, 목록 표시 기능, 게임 기능

2) URL 목록

- GET, /quiz: 퀴즈 목록을 표시

- POST, /quiz/insert: 등록 처리를 실행

- GET, /quiz/{id}: 갱신 화면을 표시

- POST, /quiz/update: 갱신 처리를 실행

- POST, /quiz/delete: 삭제 처리를 실행

- GET, /quiz/play: 퀴즈 화면을 표시

- POST, /quiz/check: 퀴즈 답을 체크

 

2. 레이어

1)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 클라이언트에서 받은 요청을 제어하고 도메인 레이어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

- Controller: 요청을 처리에 매핑하고 결과를 뷰에 넘겨주는 제어를 함. 주요 처리는 Controller 안에서 실행하지 않고 '도메인 레이어'의 Service를 호출.

- Form: 화면의 폼을 표현. 입력한 값을 Controller에 넘겨주며, Controller에서 화면에 결과를 출력할 때도 사용. 도메인 레이어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 의존하지 않도록 Form에서 도메인 객체로 변환하거나 도메인 객체에서 Form으로 변환하는 것을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수행.

- View: 화면 표시를 담당.

2) 도메인 레이어

- 도메인 객체에 대해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처리를 실행.

- Entity: 서비스 처리를 실행할 때 필요한 자원.

- Service: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처리를 담당.

- Repository: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조작 내용만 정의(구현 내용은 작성하지 않음).

3) 인스라스트럭처 레이어

- 도메인 객체에 대해 CRUD 조작을 해서 데이터의 영속화를 담당.

- Repositorylmpl: 도메인 레이어에서 정의한 Repository의 구현 클래스.

- O/R Mapper: O(Object; 객체)와 R(Relational;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간의 데이터를 매핑

 

3. 데이터베이스/프로젝트 생성

1) dependencies

- Spring Boot DevTools: 스프링 부트 개발 툴. 자동 재실행 등 개발에 편리한 기능 포함.

- Lombok: 어노테이션을 부여하는 것으로 getter와 setter 등을 코드로 작성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구현해줌.

- Spring Data JDBC: 스프링 데이터에서 제공하는 OR Mapper.

- Validation: 유효성 검사 기능인 'Bean Validation'과 'Hibernate Validator'를 사용할 수 있게 함.

- Thymeleaf: 스프링 부트에서 추천하는 템플릿 엔진

- Spring Web: 스프링 MVC

테이블 생성

 

+ Recent posts